therichnessplus1 님의 블로그

therichnessplus1 님의 블로그 입니다.

  • 2025. 4. 8.

    by. therichnessplus1

    목차

      🔹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란?

     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는 일반과세자가 연 2회 확정 신고 사이,
      중간에 부가세를 미리 납부하도록 국세청이 고지서를 발송하는 제도입니다.

      쉽게 말해,

      “지난기 납부세액이 이 정도였으니, 이번에도 비슷할 거라 보고 미리 반액만 내세요!”
      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어요.

      예정고지는 신고서 제출 없이 납부만 하면 되기 때문에 간편하지만,
      상황에 따라 예정신고로 전환할 수 있고, 납부 지연 시 가산세도 발생하므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


       

       

      🔹 예정고지 대상자와 고지 시기

      ✅ 적용 대상

      구분 적용여부 설명
      개인 일반과세자 ✅ 해당 직전기 확정신고에서 납부세액이 있었던 경우
      간이과세자 ❌ 제외 예정고지 제도 적용 대상 아님
      법인사업자 ✅ 해당 분기별로 예정신고 또는 예정고지 진행

      ✅ 고지 시기

      과세기간고지 시점납부 기한

       

      과세기간 고지시점 납부기한
      1기 예정 (1~3월) 4월 초 4월 25일까지
      2기 예정 (7~9월) 10월 초 10월 25일까지

      📌 홈택스 또는 우편으로 고지서가 발송되며, 별도 신고 없이 납부만 하면 신고 완료됩니다.


       

       

      🔹 예정고지 세액은 어떻게 계산될까?

      예정고지 세액은 원칙적으로 **직전기(6개월)의 확정 납부세액의 50%**입니다.

      예시:

      • 1기 확정 납부세액이 120만 원이었다면
        → 2기 예정고지 세액은 60만 원
        → 10월 25일까지 납부

      단, 직전기 납부세액이 0원이거나 환급받은 경우에는 예정고지 대상이 아닙니다.


       

       

      🔹 예정고지 vs 예정신고 차이점


      구분 예정고지 예정신고
      신고 여부 ❌ 불필요 (고지서만 납부) ✅ 반드시 신고서 작성
      대상자 직전기 납부세액 있는 일반과세자 조기환급을 받으려고 하거나, 직전기 납부할 세액이나 매출이  30%
      이하일 경우
      세액 기준 직전기 납부세액의 1/2 실제 발생한 매출·매입 기준
      장점 간편하게 납부 가능 실제 실적 반영으로 절세 가능

       

       

      🔸 예정신고로 전환 가능한 경우는?

      예정고지를 받았더라도, 상황에 따라 예정신고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
      예를 들어, 해당 기간의 매출이 줄었거나 매입 비용이 증가해 예정고지 금액보다 실제 납부세액이 적은 경우,
      예정신고서를 작성하여 실제 세액만 납부하면 됩니다.

      이 경우 홈택스에서 ‘예정신고’ 메뉴로 직접 자료를 입력해 신고서를 제출하면 되고,
      고지 금액보다 적게 낼 수 있어 현금 흐름 관리에도 유리합니다.

      📌 단, 예정고지와 예정신고는 중복 처리할 수 없으므로 한 가지만 선택해야 해요.


       

     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란? 대상자부터 가산세까지

      🔍 예정고지 납부 방법

      예정고지서는 홈택스 또는 우편으로 수령한 후 아래 방식으로 납부할 수 있어요:

      납부 방법설명
      홈택스 납부 [홈택스 → 신고/납부 → 국세납부] 메뉴에서 예정고지 내역 확인 후 납부 가능
      가상계좌 이체 고지서에 기재된 전용 계좌로 입금 시 자동 납부 처리
      신용카드 납부 카드 포인트 사용 가능 (수수료 부과될 수 있음)
      은행 창구 납부 출력한 고지서를 지참하고 은행에서 직접 납부 가능

       

       

      ⚠️ 예정고지 납부 지연 시 가산세는?

      예정고지는 납부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두 가지 방식으로 동시에 부과됩니다.

      구분 세율 비고
      납부불성실 가산세 고지세액 × 3% 기한 경과 후 일괄 부과
      납부지연 가산세 고지세액 × 0.022% × 지연일수 매일 누적 발생 (최대 3년)

      ✅ 예시:

      • 고지세액: 100만 원
      • 15일 지연 납부 시
        → 3% = 3만 원
        → 0.022% × 15일 = 3,300원
        총 가산세: 33,300원

      📌 이처럼 예정고지는 "3% 정률 가산세 + 0.022% 일할 가산세"가 함께 부과되므로,
      가급적 기한 내에 꼭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       

      ✅ 예정고지를 잘 활용하면 납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

      예정고지는 국세청이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제도이지만,
      무조건 납부하는 게 아니라 내 사업 실적에 따라 ‘예정신고’로 전환할 수 있는 유연성도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.

      📌 매출이 줄었다면 무리하게 고지 금액을 납부하지 말고,
      홈택스에서 예정신고로 전환해 실제 실적 기준으로 납부하세요.

      납부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2중으로 발생하므로,
      고지서를 받는 즉시 금액을 확인하고 납부 여부를 결정하는 습관을 들이세요.


       

      🧾 이 글의 핵심 키워드 요약

      •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란
      • 예정고지 대상자
      • 예정고지 vs 예정신고
      • 예정고지 세액 계산
      • 예정고지 납부 방법
      • 가산세 계산 방식
      • 홈택스 예정고지 납부
      • 예정고지 절세 전략